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 산업기술 동향

저작권 산업기술동향 상세보기
제목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5-5호)
담당부서 심의산업통계팀 전상홍 등록일 2024-05-30
첨부문서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5-5호).pdf 미리보기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5-5호)_뷰어 게시용.pdf 미리보기

ISSN 2983-1954 (Online)

 

 

□ 호주 정부, 온라인 저작권 침해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발표

 ○ 2023년 호주 온라인 콘텐츠 이용 실태 조사
  - 호주 정부는 2015년부터 온라인 저작권 침해 상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와 설문조사를 진행해 왔으며, 최근 2023년 온라인 저작권 침해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음.
  - 이 조사를 통해 음악, 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라이브 스포츠 등 5가지 주요 콘텐츠 유형에 대한 이용자들의 소비 및 행동 방식의 변화를 측정함.
  - 2023년 6월 27일부터 7월 15일까지 12세 이상의 호주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는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3개월 동안의 온라인 콘텐츠 소비 습관에 대한 설문으로 진행되었음
※ (주제어) 호주 정부, 온라인 저작권 침해, 온라인 콘텐츠, 호주 온라인 콘텐츠, 음악, 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라이브 스포츠

□ 애플 뮤직, 음반사 및 배급사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출시

 ○ 애플 뮤직, 애플 뮤직 파트너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분석 혁신
  - 애플 뮤직(Apple Music)이 음반사 및 배급사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 분석 구독 프로그램인 애플 뮤직 파트너 프로그램(Apple Music Partner Program)을 출시함.
  - 이 프로그램은 아티스트와 음반사가 음악 산업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마케팅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는 데 필요한 심층적인 데이터와 분석 기능을 제공함.
  - 또한 맞춤형 대시보드와 API 조합을 제공하며, 구독자는 글로벌 라디오 방송 차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
※ (주제어) 애플 뮤직,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데이터 분석 구독 프로그램, 애플 뮤직 파트너 프로그램, 음반사, 배급사, 아티스트, 음악 산업

□ 틱톡, AI 생성 콘텐츠에 자동으로 라벨 지정

 ○ 틱톡, AI 생성 콘텐츠 자동 라벨 부착 확대로 투명성 강화
  -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TikTok)은 2024년 5월 9일 자사 플랫폼 내에서 제작된 AI 생성 콘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플랫폼에서 제작된 AI 생성 콘텐츠에도 자동으로 라벨을 표기하는 기능을 도입한다고 발표함.
  -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해당 기능의 도입으로 AI 생성 콘텐츠의 출처와 제작 과정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음.
  - 또한 콘텐츠의 투명성과 진위성을 높이고, 딥페이크 및 허위 정보의 확산 방지를 통한 안전한 플랫폼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주제어)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 AI 생성 콘텐츠, 콘텐츠, 메타데이터, 라벨, 출처, 딥페이크, 허위 정보

□ 중국, 최초의 AI 시청각 저작물 침해 소송

 ○ 중국 최초의 AI 시청각 저작물 침해 소송
  - 2024년 4월 11일 영화 ‘산해기경(山海奇镜)’의 예고편 제작자인 천쿤이 AI 시청각 저작물 침해 소송을 제기하며 원커창쭈오를 상대로 법적 대응을 시작함.
  - 천쿤은 예고편이 무단 복제되어 AI로 재생성된 후 상업적으로 이용되었다고 주장함.
  - 베이징 인터넷법원은 5월 15일 첫 공판을 열었으며, 원고 측은 예고편 제작 과정에서의 자신의 창의적 기여를 강조함.
  - 피고는 자신들의 작품의 창작성을 주장하며 반박함. 본 소송은 AI 산출물의 저작권 보호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됨
※ (주제어) 중국, AI 시청각 저작물 침해 소송, 산해기경, 천쿤, 원커창쭈오, 예고편, 무단 복제, 창작성, AI 산출물, 저작권 보호

□ 구글, 디지털 워터마크를 AI 생성 콘텐츠로 확장

 ○ 구글의 신스아이디로  AI 생성 콘텐츠의 투명성 보장 
  - 구글은 ‘구글 I/O 2024’에서 AI가 생성한 영상과 텍스트에 워터마크를 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스ID(SynthID) 워터마킹 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발표함.
  - 기존 신스ID는 이미지와 오디오에만 적용되었으나 이번 확장을 통해 제미나이(Gemini)가 생성한 텍스트, 비오(Veo)가 생성한 동영상 콘텐츠에도 적용하게 됨.
  - 구글은 이번 확장을 통해 디지털 워터마크가 동영상 수정 후에도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신스ID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등 AI 생성 콘텐츠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노력 중임
※ (주제어) 구글, 구글 I/O 2024, AI, 영상, 텍스트, AI 생성 콘텐츠, 디지털 워터마크, 신스아이디, 신스ID 워터마킹 시스템, 신스ID, 이미지, 오디오, 제미나이, 비오, 동영상, 오픈소스

□ 원더쉐어, 필모라 최신 업데이트로 AI 기반 편집 기능 추가

 ○ 원더쉐어, AI 기반 워터마크 제거 기능을 포함한 필모라 최신 업데이트 공개
  - 원더쉐어(Wondershare)는 필모라(Filmora) 모바일 버전의 최신 업데이트를 통해 AI 오토컷, 동적 자막, AI 제거 기능을 추가함.
  - 이번 업데이트로 스마트폰에서도 데스크톱 수준의 고품질 콘텐츠 제작이 가능해짐.
  - 필모라는 초보자부터 기업, 콘텐츠 제작자, 마케터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편집 도구로, AI 기반 편집 도구와 다양한 특수 효과를 통해 창의적인 영상 편집이 가능함.
  - 또한, 합리적인 가격과 유연한 가격 정책으로 경제적이며, 모든 기기에서 호환 가능함 
※ (주제어) 윈더쉐어, 필모라, AI 기반 편집, AI 기반 워터마크 제거, AI 오토컷, 동적 자막, AI 제거, 고품질 콘텐츠, AI 기반 편집 도구
공공누리 마크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5-5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