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 산업기술 동향

저작권 산업기술동향 상세보기
제목 [뉴스레터] 11월 3주 : 3. SBS 워터마킹 기술과 활용
담당부서 저작권기술팀 이민선 등록일 2015-11-27

 

3. SBS 워터마킹 기술과 활용

 

 

□ 배경

○ 원래 워터마킹은 지폐가 젖어있는 상태에서 특정한 마크를 인쇄하는 고도의 인쇄 기술을 의미한다. 지폐를 불빛에 비췄을 때 희미하게 나타나는 마크를 통해 지폐의 위조 여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디지털 워터마킹도 영상, 음성, 이미지 등의 디지털콘텐츠에 눈에 띄지 않게 저작권자의 정보를 삽입하여 콘텐츠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SBS가 이러한 워터마킹 기술을 활용해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디지털 형태의 워터마크인데 실시간으로 삽입되어 활용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마크애니의 오디오를 위한 ‘마오’와 비디오를 위한 ‘마비’라는 워터마킹 솔루션이 활용되고 있다.

   

 

□ 주요 내용

○ 2015년 11월 4일 ICOTEC 2015에서 SBS의 유승 이사는 SBS의 워터마크 활용에 대한 설명을 진행했다. SBS의 워터마크 활용 디지털 방송은 2013년 시작되었다. SBS는 합법적 방송 콘텐츠 유통과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워터마크 송출 시스템`을 구축해 방송콘텐츠 보호신호를 전국에 24시간 송출하고 있다. SBS는 2013년에 방송 시스템 최적화 기술 개발과 주조정실을 구축한 데 이어 수도권 방송에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해 송출 중이다. 비디오 워터마크 기술이 방송사 주조정실에 적용돼 실시간 온에어(On Air)되는 것은 SBS가 세계 최초였다.

○ 워터마크가 들어간 방송 영상이 유통되면서 TV 모듈, 업로드 컴포넌트 등 워터마크 검출기로 방송사 코드, 서비스 코드, 타임 코드 등을 추출해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프로그램·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기반 데이터 방송 송출은 부가서비스 정보가 IPTV와 케이블 등 수신 환경에서 모두 제거되었다. 직접 수신 방식에서도 파일을 저장하면 부가정보가 모두 제거된다. 워터마크 기반 송출 방식은 수신 환경이나 파일 저장에 관계없이 비디오 신호와 부가서비스 정보가 계속 유지된다. 시청자가 개인 블로그나 인터넷 커뮤니티(카페)에 캡처한 방송 콘텐츠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검출 모듈이 구동된다.

○ ICOTEC 2015에서는 몇 가지 SBS 워터마크 방송의 특징과 역사가 발표되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비디오/오디오 퀄리티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 실시간 프로세싱을 통해 즉시적인 방송 콘텐츠 생성이 가능하다.

▶ 지연이 매우 적다.

▶ 프레임 드롭이 거의 없다.

▶ 서비스 레벨에서 다양한 검출이 가능하다.

○ SBS는 앞으로 스마트 TV분야와 N 스크린 분야 그리고 빅데이터 수집 분야에 워터마킹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 평가

○ SBS의 워터마크 기술의 활용은 실제 방송에서 첫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방송사의 경우 워터마킹의 효용성은 잘 알고 있으면서도, 최종 방송 송출시점에 디지털 정보를 추가 삽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적극적이지 않았다. SBS의 워터마킹 적용이 방송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워터마크를 이용한 방송 콘텐츠 보호 기술이 적용되면 불법 유통 차단이라는 단순한 목적에서 벗어나 저작권자 수익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SBS의 워터마크 활용은 시청자에게 합법적이고 편리한 유통 서비스와 소비 환경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참고자료

○ Seong Yoo, ‘SBS watermarks, real-time transmission status and application services’, ICOTEC 2015

http://sbstechpr.sbs.co.kr/now/dtv_addtech.html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1222183755

http://dcon.etri.re.kr/DRM_Water.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