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 산업기술 동향

저작권 산업기술동향 상세보기
제목 [뉴스레터] 11월 2주 : 1. 디지털 라디오와 음원불법복제
담당부서 저작권기술팀 이민선 등록일 2015-11-27

 

1. 디지털 라디오와 음원불법복제

 

 

□ 배경

○ 디지털 라디오(digital radio)는 통신 공학에서 마이크로파나 라디오 주파수 통신 표준과 같은 무선 디지털 전송 기술을 가리킨다. 또 다른 정의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에 기반한 라디오 송수신기의 기능을 가리키지만 FM 라디오와 같은 아날로그 라디오 전송 표준의 송수신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거의 모든 미디어가 디지털화 되었으나, 라디오의 디지털화는 상대적으로 더딘 편이었다. 디지털 라디오 기술로 개발되던 DAB (Digital Audio Broadcast)가 DMB 로 바뀌어 TV 서비스로 진행되었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중요도 면에서 TV에 비해 라디오가 낮았기 때문에 디지털화가 더뎠던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최근 라디오의 디지털화에 대한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라디오 방송 청취자들이 아날로그 방송을 듣는데 낮은 음질 수준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고, 국가 경쟁력이나 라디오 방송사업자, 주파수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도 라디오의 디지털화는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라디오의 주요 기술은 아래와 같이 3 가지로 구성된다.

▶ IBOC (In Band On Channel): IBOC는 HD 라디오로도 불리운다. iBiquity DigitalCorporation사에서 개발하여 2003년부터 미국에서 서비스가 되고 있는 디지털 라디오 기술이며, 아날로그 AM과 FM 라디오에서 완전한 디지털 방송으로 무리없이 전환이 가능하게 개발된 기술이다. 방송사 입장에서는 아날로그 AM과 FM을 연속적으로 새로운 고품질의 디지털 신호와 함께 송출할 수 있으며, 청취자들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라디오로 전환되는 기간 동안에도 현재 할당된 주파수로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새로운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Eureka-147): DAB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서비스가 실시 중인 DMB와 비디오 서비스 기능의 포함 여부만을 제외하면, 동일한 디지털 라디오 방식이다.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은 1987년부터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추진된 차세대 디지털 라디오 프로젝트 이름이다. 과제 완료 후 실용화 과정에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라 부르기 시작하였는데,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총칭 하는 것이다. Eureka-147는 기존의 analog 방식인 AM/FM 방송보다 잡음 및 다중 경로 방해 등에 강하며, CD 수준의 고품질 방송이 가능하고,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방송은 부가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산업과 시장의 창출을 기대하게 한다. Eureka-147 방식은 유럽의 전 지역, 캐나다, 대만, 호주, 싱가폴 등에서 국가 표준으로 채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 12월 디지털 라디오를 위한 표준기술로 채택한 바 있다.

▶ DRM(Digital Radio Mondiale): 국내 단파 및 중파 라디오방송의 디지털 전환방식으로 유력시 되는 방식이다. 도시 지역 근거리 방송시 지상파를 이용한 소출력 서비스와 장거리의 상층파 전파특성을 이용한 광대역 방송이 가능하며, 각각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안정성을 조절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옵션이 부여할 수 있다.

○ 디지털 라디오의 높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디지털 라디오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디지털 라디오 장비의 보급과 이동통신사들의 데이터 사용량이 줄어들 것을 걱정하는 시선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이에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하이브리드 라디오이다. 하이브리드 라디오는 데이터량이 큰 음원은 디지털 라디오로 방송하고 다른 데이터 예를 들면, 방송정보 전달, 피드백등은 기존 인터넷망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이다.

   

 

□ 주요 내용

○ 지난 10월 한국방송학회가 주최한 토론회 '라디오의 미래, 라디오 특별법 제정과 수신확대의 필요성'에서 “스마트라디오 5000만대를 보급할 수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러한 발언의 전제로는 현재에도 내장되어 있는 스마트 폰 FM 수신칩의 활성화와 하이브리드 앱의 개발이다. 임재윤 MBC미래방송연구소 차장(라디오 PD)은 스마트폰과 지상파라디오가 결합된 하이브리드라디오를 미래 라디오의 청사진으로 제시했다. 하이브리드 라디오는 지상파 라디오의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전제로 하는 라디오 방송 형태이다.

○ 하이브리드라디오는 지상파의 장점(막강한 동시 전송 능력)과 인터넷망의 장점(확장성과 양방향성)을 결합한 라디오다. 전송 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디오는 지상파(FM혹은 DAB+등의 디지털라디오)로 전달하고, 기타 방송정보 전달과 청취자 피드백, 온디맨드, SNS공유 등 스마트 확장 기능은 인터넷망에 의존한다. 스마트폰에 지상파수신칩(FM혹은 DAB+수신칩)을 내장하고 하이브리드라디오 앱을 깔아서 쓰는 방식이다.

○ 실제로 영국, 미국 등 라디오산업 생태계가 활성화된 국가에서는 하이브리드 라디오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 이동통신사 Sprint의 스마트폰에서 찾아볼 수 있는 ‘nextradio’ 앱이다. nextradio 이용자는 주파수가 아닌 브랜드와 로고이미지로 라디오 채널을 고를 수 있고, 라디오를 들으면서 편성표나 선곡 등 프로그램 정보를 볼 수 있다. 제작진에게 메세지를 보내거나 해당 채널을 SNS에 즉시 공유할 수 있고 청취하는 노래가 마음에 들면 음원도 바로 구입 할 수 있다.

○ 하이브리드 라디오나 디지털 라디오의 활성화를 위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스마트 폰의 FM 칩 활성화다. 이는 제조사의 결단에 달려 있다. 국내 기업의 경우, 영국, 미국 등지에서는 FM수신칩 활성화에 동의하는 태도를 보이면서도 국내에서는 이를 꺼려한다. 주재원 한동대 교수(언론정보문화학부)는 “기업도 국민의 보편적인 공익을 추구해야 함에도 기업의 이윤 추구를 위해 손을 놓고 있어야 하나”라고 지적하며 “이 부분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 스마트폰 내 FM수신칩 활성화 여부는 이동통신사와 제조사에 달려있지만 여기서 간과한 것이 있다. 단순히 개별 라디오 PD, 라디오 방송사가 나서서는 협상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기업의 협조를 이끌어 낼 수 없다. 영국 BBC의 편성 책임자인 마크 프렌드(Mark Friend)는 “BBC 라디오가 아무리 크고 경쟁력이 있어도 애플이나 삼성에 비하면 정말 작은 회사에 불과하다, BBC 혼자서 그들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다”며 “하지만 전 국민의 90%가 함께 하는 ‘라디오’라는 이름으로 나서면 그 누구와도 대등하게 협상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을 설득하려면 미국과 영국 사례에서 보듯이 ‘전체’가 나서야 한다. 미국은 라디오 방송사와 유관 단체가 힘을 모았고, 영국은 여론, 즉 ‘청취자’의 힘을 이용했다. 미국은 수많은 라디오 방송사가 존재한다. 영국의 경우 라디오가 90%가 넘는 청취율을 기록하면서 제2의 황금기를 맞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미국과 영국의 경우 이용자들이 라디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에 이 같은 공조가 가능했고 긍정적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 평가

○ HD 라디오라고 불리기도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면 큰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저작권 문제이다. CD 수준의 음질을 가지는 디지털 음원이 방송을 통해 전파될 경우, 무분별한 음원 복제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최근 인터넷망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활성화는 디지털 라디오의 복제 문제에 대해 더욱 예민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관건은 방송을 통한 음원을 구입하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다. 워터마킹 등 저작권 보호 기술을 통한 음원의 보호와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음원의 저장을 위한 비용처리 기술이 핵심이다.

○ 이에 대해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무분별한 라디오 녹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음반 산업계와의 저작권 문제 해결에도 적극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 속에서 결국 디지털 라디오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 참고자료

○ 디지털 라디오 방송기술 및 표준화 동향, 이상운, TTA, 2007

https://ko.wikipedia.org/wiki/디지털_라디오, Wiki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55517&cid=50307&categoryId=50307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479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1007173807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56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