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 산업기술 동향

저작권 산업기술동향 상세보기
제목 [뉴스레터] 10월 4주 : 2. 모바일 화면 저작권문제와 워터마킹
담당부서 저작권기술팀 이민선 등록일 2015-11-27

 

2. 모바일 화면 저작권문제와 워터마킹

 

 

□ 배경

○ 최근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적인 복제나 유통으로 인한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는 그 특성상 어려움 없이 원본과 동일한 복사본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저작자는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불법적 복제를 방지하고 소유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 보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 디지털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 암호화 기법이나 방화벽을 이용한 접근 제어 기술이 많이 발전해 왔다. 하지만 한번 암호가 풀린 디지털 콘텐츠는 불법적으로 복사되고 배포될 수 있다. 또한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에 의해 악용되어 디지털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복사되고 배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소유권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적인 복제나 배포를 막고, 효율적으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인 디지털 워터마킹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이러한 디지털 워터마킹은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배포, 위조 등과 같이 상업적 도용을 근절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저작권자의 고유 정보를 콘텐츠에 삽입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삽입되는 저작권자의 고유 정보를 워터마크(watermark)라고 한다.

○ 그러나 이와 같은 디지털 워터마크는 디지털 콘텐츠 내에 삽입되는 것이어서,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화면을 캡쳐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그 내용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된 워터마크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하게 되어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워터마크가 훼손되어 표시되는 문제도 존재할 수 있다.

   

 

□ 주요 내용

○ 2015년 10월 19일 데이터 보안 전문기업 테르텐이 화면 워터마크 솔루션 ‘티-워터마크(T-Watermark)’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티-워터마크는 PC 모니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특정 정보를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하는 화면 보안 솔루션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화면 워터마킹 ▲ 카메라 촬영 방지 ▲ 스트링 난독화 워터마크 ▲ 워터마크 상세 기능 설정 및 화면 워터마킹 보안 정책 설정 ▲ T-Watermark 모듈 자체 보호 기능 등

○ 이미지 워터마킹 기술은 이미지 파일에 저작권 정보를 보이지 않게 삽입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비트를 삽입하는 기능, 이미지 압축 등의 상황에서도 문제가 되지 않는 워터마크 탑재 기능, 특정 로고 삽입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미지 워터 마킹은 주로 이미지 제작업체, e-book 제작자, 인터넷 쇼핑몰, 디지털 도서관 등에서 활용되는데, 이미지 워터마크가 삽입된 그림이라 할지라도 원본 그림과 육안으로는 거의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 모바일 화면 등 주로 영상에서 활용되는 비디오 워터마킹 기술의 경우, 실시간 워터마크 코드 삽입, 추출, 다양한 프레임에 대한 마크 삽입, 호환성 유지, 편집 된 이미지에 대해서도 워터 마크의 유지 등 이미지보다 다양한 기능이 요구된다.

○ 카메라 촬영방지 기술의 경우, 중요 화면에 대해 사용자 ID 등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화면 보호 기능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 하도록 전체 혹은 부분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며, 불법적으로 촬영된 화면의 경우 카메라 촬영을 하면 영상에 보안정보가 심하게 표시되는 형태로 영상을 보호하게 된다.

○ 난독화는 주로 역공학 (reverse engineering) 방지를 위해 활용된다. 코드 자체를 변환하여 읽기 어렵게 만듦으로써 워터마크의 추출이나 삭제 등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 평가

○ 이미지 혹은 영상의 경우, 현재 워터마크는 가장 효과적인 권리보호 기술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PC화면에서 복사, 캡쳐, 촬영 등이 주요 문제였다면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함께 모바일 화면에서의 문제도 크게 중요해 지고 있다.

○ 관심을 가져야하는 부분은 앞으로의 문제이다.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 환경에서 CCTV, 스마트 기기 등을 통한 다양한 영상이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며, 공유 될 것이다. 이는 현재까지 발생하지 않았던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영상 저작권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이미지, 영상 저작권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이다.

   

 

□ 참고자료

○ 프로가드 난독화 도구 구조 및 기능 분석, Tuxue Piao외 2인

http://news.joins.com/article/18884168, 중앙일보

http://www.markany.com/wp/?page_id=199, 마크애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