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2022년 제17호-[미국] 인공지능(AI) 창작 작품, 콜로라도 주립 미술대회에서 최종 우승(이나라)
담당부서 통상산업통계팀 장민기(0557920096) 등록일 2022-10-17
첨부문서

2022년 제17호-[미국] 인공지능(AI) 창작 작품, 콜로라도 주립 미술대회에서 최종 우승(이나라).pdf 미리보기

 

[미국] 인공지능(AI) 창작 작품, 콜로라도 주립 미술대회에서 최종 우승


이나라

University of Colorado 연구원

 

1. 개요

ㅇ 지난 8월 29일(현지 시간), 미국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에서 주최한 미술 대회(Colorado State Fair Fine Arts Competition)의 디지털 아트 부문에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Théâtre D'opéra Spatial)]이 1등 상을 수상했다는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인 Discord에 올라옴.

- 게임 회사 CEO인 제이슨 앨런(Jason Allen)은 본인이 AI로 제작한 그림이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가 주최한 미술 대회에서 우승했다며, Discord에 글을 올림.

- Discord는 음성, 채팅, 화상통화, 화면 공유 등을 지원하는 소셜미디어 인터넷 커뮤니티임. 처음엔 온라인 게임 유저들이 주로 사용했지만, 간편한 사용법과 다양한 무료 서비스 때문에 일반 사용자 수가 많이 늘어나며 주류 메신저 서버(server)이자 프로그램으로 더욱 유명해짐. Discord의 서버에는 채팅 서버와 게임 서버 및 Al 기술이 들어간 봇(bot) 서버도 있음.

- 봇 서버 중의 하나인 ‘Midjourney’ (미드저니, 서버 버전: https://discord.com/invite/midjourney, 간편 웹 앱(web app) 버전: https://www.midjourney.com)’은 AI 기반의 이미지 제작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설명문을 입력하면 그와 관련된 이미지를 4장씩 출력함.

- AI가 반복 학습을 하면 성능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제이슨 앨런은 미드저니에 수 백 차례 비슷한 내용의 설명문을 입력하는 ‘학습 과정’을 반복하여 900개 이상의 그림을 생성함. 이 중 다시 앨런이 세 편을 골라, 추가적인 포토샵 편집으로 작품을 완성하여 대회에 출품함.

ㅇ AI 창작 작품의 대회 수상 소식이 알려지자, 소위 ‘Al 화가’의 작품이 예술인가 아닌가에 대한 찬반 논쟁이 벌어짐.

- 이에 대해 대회 측은 앨런이 출품자의 이름으로 ‘미드저니를 통한 제이슨 앨런’이라고 적어냈다며, 수상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임. 나아가 대회 심사위원들은 해당 작품이 AI가 만든 작품이라는 설명을 사전에 듣지 못했지만, 이를 알고서 다시 심사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1등 수상작이 될 것이라 발표함.

- 앨런 측도 역시 AI가 그림을 대량 생산했다고 하더라도, 상상 속 이미지에 대한 설명글을 입력하고 최종 이미지를 골라 재편집하는 과정에 ‘인간’인 본인의 판단이 들어갔기 때문에, 대회 출품용 디지털 아트 작품으로 아무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을 밝힘.

- 미술계에서는 이번 AI 창작 작품의 대회 수상을 빗대어 ‘예술성의 죽음(the death of artistry)을 목도한다’는 등의 비판적인 반응을 쏟아내고 있음. 그러나 오늘날 예술의 한 장르로 당당히 자리 잡은 예술사진(fine-art photography)을 예로 들며, ‘AI 창작물이 예술의 경계를 확장한다’는 긍정적인 의견도 많음.

 

 

2. 창작자로서의 AI를 바라보는 복합적인 시각

ㅇ 지난 2022년 2월 14일(현지 시간), 미국 저작권청은 AI의 저작권 등록 요청에 대해 최종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힘.

- 미국 AI 과학자 스티븐 탈러(Steven Thaler)는 AI 알고리즘 ‘다부스(DABUS)’를 개발해 미술 작품을 생성함.

- 2018년 탈러는 이 작품의 저작자로서 자신이 아닌 ‘다부스’를 등록하고 다부스의 저작권 보호를 요청했으나, 미국 저작권청은 ‘인간 저작(human authorship)의 요소가 AI 저작물에는 없다’고 언급하며, AI의 저작권 보호 요청을 거절함.

- 2020년 그가 다시 “업무상 저작물의 경우 ‘회사와 같은 인간이 아닌 것 혹은 법인 등’을 저작자로 인정하기 때문에 AI도 저작권법상 저작자가 될 수 있다”라는 논리로 재심을 요청했으나, 저작권청은 ‘‘업무로 인한 창작’ 원칙은 저작물의 소유자를 판단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지 저작물이 저작권으로 보호되는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견으로 등록 요청을 최종 거부함. 

- 이와는 별도로 2019년 탈러는 미국 특허상표청(The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을 상대로, 다부스의 그림 제작 방식에 대해 특허 출원을 하면서 다부스 자체를 발명가(inventor)로 인정해 달라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음. 그는 ‘특허법에 따르면 individual(개인/개체)은 발명가로 인정받을 수 있으므로, AI도 발명가가 될 수 있다’면서 항소심을 냈으나, 올 8월 연방 순회 항소법원은 ‘individual은 주로 자연인(natural persons)을 가리킨다’며 끝내 탈러의 손을 들어주지 않음.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와 캐나다에서는 AI가 생성한 미술 작품에 대해 AI 앱을 공동저작자로 인정해준 사례가 존재함.

- 지난 2021년 12월, 캐나다 지적재산권청(CIPO)은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Starry Night)]에서 영감을 받은 그림 [일몰(Suryast]]에 대한 저작권을 등록하며, 안킷 사니(Ankit Sahni)와 AI 회화 앱인 라그하브(RAGHAV)를 공동저작자로 인정함.

- 안킷 사니는 이미 인도에서도 동일한 저작권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한 경력이 있음.

- 해당 사건은 ‘인간’과 저작권을 공유한다는 전제 하에, AI가 미술 작품의 저작자로 보호받은 인도와 캐나다의 최초 사례로 기록됨.

 

3. 시사점

ㅇ 한국이나 미국 등 대다수의 국가에서는 아직 AI 창작 작품에 대해 저작권을 부여하지 않지만,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국가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

- AI 창작 작품에 관한 저작권 논란은 ▲AI가 생성한 작품에 창작성(originality)을 부여할 수 있는가 ▲AI 자체가 발명가나 저작권자가 될 수 있는가 ▲Al 개발자나 AI를 학습시키는 이가 AI를 대신하여 저작권자가 될 수 있는가 ▲AI 학습 과정에서 요구되는 메타데이터 저작자 또한 Al 창작 작품의 저작권자가 될 수 있는가 등의 쟁점 사항이 많이 있음.

- Al 기반 기술이 산업, 예술, 교육 등 이미 많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 그만큼 Al 창작 작품에 관한 새로운 이슈가 생길 때마다 국제적인 동향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 

 

[참고링크]

-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artificial-intelligence-art-wins-colorado-state-fair-180980703/ 

- https://www.nytimes.com/2022/09/02/technology/ai-artificial-intelligence-artists.html 

- https://coloradostatefair.com/wp-content/uploads/2022/08/2022-Fine-Arts-First-Second-Third.pdf 

- https://www.copyright.gov/rulings-filings/review-board/docs/a-recent-entrance-to-paradise.pdf 

- https://www.engadget.com/us-copyright-office-art-ai-creativity-machine-190722809.html 

- https://news.bloomberglaw.com/ip-law/only-humans-not-ai-qualify-as-inventors-federal-circuit-rules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