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2022년 제15호-[독일] 독일게임산업무역기구 「2022 연례 보고서」 발표, 게임 매출 2020년 대비 17% 증가(오혜민)
담당부서 통상산업통계팀 장민기(0557920096) 등록일 2022-09-07
첨부문서

2022년 제15호-[독일] 독일게임산업무역기구 「2022 연례 보고서」 발표, 게임 매출 2020년 대비 17% 증가(오혜민).pdf 미리보기

독일게임산업무역기구 「2022 연례 보고서」 발표, 게임 매출 2020년 대비 17% 증가

 

오 혜 민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법학박사과정, Johannes Gutenberg-Universität Mainz LL.M.

 

 

1. 개요

 

독일은 유럽 1, 세계 5위의 게임 시장임. 1995년 이래로 게임산업을 분석하고 있는 독일 게임산업무역기구 (Verband der deutschen Games-Brache)2022년 연례 보고서를 통해 독일의 2021년 게임 매출이 2020년 대비 17% 증가 하였음을 발표함. 세부적으로는 비디오 게임 콘솔이 23%, 컴퓨터 게임 액세서리 22%, 모바일 게임 및 인앱 구매가 30% 증가세를 보였음.

 

2. 독일의 비디오 및 PC 게임 시장

 

2021년 기준 게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든 부분에서 큰 폭의 성장세가 두드러짐.

- 2021년 비디오 게임 콘솔 (console)의 경우 전년 대비 23% 증가한 약 88백만 유로를 기록하였으며, 컴퓨터 게임 액세서리로 분류되는 게임용 그래픽 카드,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및 VR 헤드셋의 소비 또한 전년 대비 22% 증가한 약 15억 유로로 집계되었음.

특히, 2020년 이후 독일 내 온라인 PC 게임 시장은 전체 게임 시장에서 50% 이상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으며, 이러한 성장세는 2021년에도 이어짐.

- PC 게임 다운로드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93%를 차지하고 있음. , PC 게임의 소비 형태는 Origin steam과 같은 게임 포털의 다운로드에 의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

- 반면, Nintendo Switch, PlayStation, Xbox와 같은 비디오 콘솔용 게임의 경우에는 64%가 하드웨어를 통한 구매 양상을 보이고 있음.

Xbox Game Pass, EA Play Ubisoft+와 같은 게임 구독 서비스 판매수익은 22% 증가한 22천만 유로로 성장하였음.

- 해당 서비스는 게임의 월정액 구독서비스 사용자가 게임을 직접 다운로드 하거나 설치하는 대신 스트리밍의 형태로 재생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

- 게임의 플랫폼 서비스 형태로 월 고정가격으로 광범위한 게임 라이브러리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이 어떻게 변화할 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함.

 

3. 독일의 모바일 게임 시장

 

PC 및 모바일용 콘솔게임으로 소비자에게 친숙한 포켓몬 고 (Pokémon Go)’, ‘쥬라기 월드 라이브 (Jurassic World Live)’와 같은 게임이 위치 기반 모바일 게임으로 재출시 되는 등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용 게임의 변화가 존재함.

2021년 스마트폰 및 태블릿용 게임의 판매수익이 22% 증가한 약 28억 유로로 집계되었음.

- 202023% 증가하였던 스마트폰 및 태블릿용 게임의 판매수익을 견주어 고려하여 볼 때, 최근 몇 년간 모바일 게임 시장의 성장 추세가 매우 인상적임.

 

모바일 게임 전체 매출에서 인앱구매는 약 99%를 차지하고 있음. 이는 모바일 게임의 구매로 인한 판매수익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모바일 게임에서의 인앱구매로 성공한 다수의 게임의 경우, 진입 장벽이 낮은 무료 게임의 사용자가 추가 레벨 및 새로운 스킨과 같은 추가 콘텐츠 구입을 위한 소비 양상을 보임.

모바일 게임 산업에서도 Apple Arcade Google Play와 같은 모바일 게임 구독 서비스에 대한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이는 전년 대비 200% 증가한 1200만 유로로 집계되었음.

 

4. 분석

 

독일 게임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PC 및 비디오 콘솔 소비가 존재하나, 전체적인 게임 시장 내에서 주요 게임 소비 형태는 디지털 형태임. 관련하여 게임 구독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향후 소비형태의 변화가 존재하리라는 분석이 존재함.

관련하여 독일의 게임 회사의 수는 2021년 대비 약 5% 증가하였음. 다만, 지난 2년간의 수치를 비교해 보았을 때는 26% 증가하였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게임 산업에서 핵심적인 개발 및 퍼블리싱을 담당하는 게임산업의 직업 수는 2021년 대비 3%, 2020년 대비 12% 증가하였음. 다만, 비디오 게임을 개발하는 회사만을 분석하여 보았을 때, 개발 및 퍼블리싱을 모두 수행하는 회사는 약 14% 증가하였으나 전용 개발 스튜디오의 경우 3% 감소하였음.

- 다만, 70%의 독일 회사의 경우 10명 미만을 고용한 소규모 회사임.

일각에서는 소비 시장 대비 산업적인 측면에서 프랑스, 캐나다, 영국과 같은 국가에 비하여 독일 연방정부의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연방정부의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게임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되고 있음.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