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2022년 제13호-[미국] 유튜브, 2021년 하반기 저작권 투명성 보고서 발표(유현우)
담당부서 통상산업통계팀 장민기(0557920096) 등록일 2022-08-19
첨부문서

2022년 제13호-[미국] 유튜브, 2021년 하반기 저작권 투명성 보고서 발표(유현우).pdf 미리보기

유튜브, 2021년 하반기 저작권 투명성 보고서 발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IT법학협동과정 지식재산권법 전공 박사과정 수료 

 

 

1. 배경

 

YouTube는 저작권자를 보호하기 위해 저작권 침해 콘텐츠가 포함된 것으로 의심되는 동영상을 정기적으로 삭제 또는 비활성화하거나 업로더의 수익 창출을 제한하고 있음.

2021126일 유튜브는 2021년 상반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자신들의 플랫폼에 대한 저작권 집행을 위한 노력(copyright enforcement efforts)을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작권 투명성 보고서(Copyright Transparency Report)를 발표한 바 있음.

YouTube는 최근 ‘2021년 하반기 저작권 투명성 보고서를 발표했음. 이번 보고서는 2021년 하반기 데이터에 기반한 것으로서 지난 상반기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DMCA에 근거한 저작권 게시중단 웹 양식인 Copyright Webform, Copyright Match Tool, Content ID 시스템 등 유튜브의 저작권 관리 체계(copyright management suite)를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도구를 중심으로 분석되었음.

 

2. 주요 내용

 

2021년 하반기에 75,954만 건 이상의 권리 주장이 Content ID 시스템을 통해 제기된 것으로 조사되었음.

- 2021년 상반기의 72,200만 건을 합치면 작년 2021년 한 해 동안 Content ID 시스템을 통해 약 15억 건의 권리 주장이 제기된 것인데 이는 YouTube에 제기된 모든 저작권 침해 주장의 약 99%에 해당하는 수치임.

- Content ID 시스템은 모든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Copyright Webform 시스템과는 달리 주로 영화 제작사, 음반 제작사 등의 기업이나 유관 협회 및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저작권 관리 시스템임.

- 작년 7월부터 12월까지 Content ID 시스템을 사용한 저작권자는 총 4,840명으로 이는 같은 기간 Copyright Webform 시스템을 사용한 권리자 272,815명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숫자임을 알 수 있음.

- Content ID 시스템은 인간의 개입 없이 Google의 알고리즘과 지문 기술(fingerprinting technology)에 기반한 자동 감지 기술을 통해 99%가 자동적으로 처리됨.

- 이와 같은 자동화를 통해 YouTube와 저작권자는 많은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남용과 오류의 잠재적인 원인이 되기도 함.

- 이는 Content ID 시스템이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소수의 검증되고 책임감 있는 권리자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기도 함.

 

2021년 하반기 영상 저작물과 관련하여 유튜브에 수백만 건의 잘못된 게시중단 요청이 있었지만 저작권자의 Content ID 시스템을 통한 권리 주장에 대해 업로더가 이의를 제기한 사례는 1%도 채 되지 않는 0.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음.

- 비율로만 보면 매우 작은 수치인 것 같지만 6개월 동안 무려 380만 건에 대해서 업로더가 이의를 제기하여 분쟁이 발생함.

- 또한 Content ID 시스템과 관련하여 콘텐츠의 삭제를 거부하여 발생한 분쟁의 62% 정도가 저작권자가 아닌 업로더에게 유리하게 해결되었으며 Content ID 시스템을 통한 저작권 주장의 90% 정도가 해당 콘텐츠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대신 저작권자에게 광고 수익 귀속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음.

 

ㅇ 한편 2021년 하반기에 Copyright Match Tool을 사용하여 약 172만 건의 삭제 요청이 제기되었음.

 

3. 평가 및 전망

 

ㅇ 동 보고서는 YouTube의 저작권 관리 정책과 저작권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해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ㅇ 특히 2021년 상반기 보고서에 이어서 하반기 보고서를 발간함으로써 이제는 1년 단위로도 해당 동향 및 추세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앞으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됨.

ㅇ 최근 YouTubeShorts와 같은 짧은 영상 서비스를 성공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로 인해 Content ID 시스템을 통한 저작권 주장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참고자료

https://storage.googleapis.com/transparencyreport/report-downloads/pdf-report-22_2021-7-1_2021-12-31_en_v1.pdf

 

https://torrentfreak.com/youtube-processed-nearly-1-5-billion-content-id-claims-in-2021-220721/

https://www.digitalinformationworld.com/2022/06/youtubes-latest-copyright-transparency.html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