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2022년 제6호-[국제] 국제음반산업협회(IFPI), ‘글로벌 음악 보고서 2022’ 발표(유현우)
담당부서 통상산업통계팀 장민기(0557920096) 등록일 2022-04-27
첨부파일

2022년 제6호-[국제] 국제음반산업협회(IFPI), ‘글로벌 음악 보고서 2022’ 발표(유현우).pdf 바로보기

저작권 동향 제6

2022. 4. 27.

 

[국제] 국제음반산업협회(IFPI), ‘글로벌 음악 보고서 2022’ 발표

 

유현우*

 

지난 2022322일 국제음반산업협회(IFPI)2021년 작년 한 해 전 세계 음반 산업의 동향을 조사한 글로벌 음악 보고서 2022(Global Music Report 2022)’를 발표함. 2021년 전 세계 음반 산업은 2020년 대비 18.5% 성장하여 259억 달러(한화 약 318,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7년 연속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러한 전 세계 음반 산업 성장의 주요 원동력은 유료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Paid subscription streaming) 등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 증가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특히 유료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은 전년 대비 21.9% 증가한 123억 달러(한화 약 151,000억 원)를 기록하며 전 세계 음반 시장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개요

2022322일 국제음반산업협회(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이하 ‘IFPI’)2021년 작년 한 해 전 세계 음반 산업의 동향을 조사한 연례 보고서인 글로벌 음악 보고서 2022(Global Music Report 2022)’을 발표하였음.

 

주요 내용

IFPI글로벌 음악 보고서 2022’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음반 산업은 2020년 대비 18.5% 성장하며 259억 달러(한화 약 318,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음.

- 이러한 2021년도의 매출액은 1999년도의 매출액 241억 달러(한화 약 307,000억 원) 이후 사상 최고치임.

- 또한 관련 조사를 시작한 1990년대 이래 가장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음.

- 한편 전 세계 음반 산업의 매출액은 2014년도 이후 7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음.

이러한 음반 산업 성장의 주요 원동력(primary driver)은 스트리밍 서비스 그중에서도 특히 유료 구독 스트리밍(Paid subscription streaming) 서비스의 매출 증가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유료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은 2020년 대비 21.9% 증가한 123억 달러(한화 약 151,000억 원)를 기록하였음.

-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가 전체 음반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유료 구독과 광고 지원(advertising-supported) 서비스를 포함한 전체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은 전년 대비 24.3% 성장하며 매출액 169억 달러(한화 약 207,500억 원)에 도달했는데 이는 전 세계 음반 매출액의 약 65%에 달하는 비중임.

- 2021년 말 기준 유료 스트리밍 구독자(users of paid subscriptions)의 수는 약 52,300만 명으로 전년도 대비 약 8,000만 명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그동안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여왔던 실물 음반 매출(physical music sales)은 전년 대비 16.1% 증가한 50억 달러(한화 약 61,400억 원)를 기록하였음. 이는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서 코로나 19에 따른 봉쇄령 해제 이후 유통 매장에서 실물 음반의 판매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임.

이외에 공연권(performance rights) 관련 음반 매출은 24억 달러(한화 약 29,500억 원)로 전년 대비 4.0% 성장하였고, 싱크권(Synchronisation) 관련 음반의 매출도 전년 대비 22.0% 증가한 약 55,000만 달러(한화 약 6,700억 원)를 기록하였으나 다운로드 및 기타 디지털(DOWNLOADS & OTHER DIGITAL) 방식의 음반 매출은 영구적 다운로드 관련 매출 15.3% 감소의 영향을 받아 유일하게 매출이 전년 대비 10.7% 감소하였음.

 

국가 및 지역별 통계

2021년 작년 한 해 음반 매출 Top 10 국가는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중국, 대한민국,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음.

- 2020년 음반 매출 Top 10 국가와 비교해 보았을 때 대한민국과 중국의 순위가 뒤바뀌었고 2020년에 10위였던 네덜란드 대신 2021년에는 이탈리아가 10위에 올랐음.

현재 전 세계에서 음반 산업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은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인 것으로 조사되었음.

- 작년에 사상 최초로 다른 지역과 분리되어 보고되었던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은 눈에 띄는 성장이 반영되어 올해부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 지역과 중동 및 북아프리카(MIDDLE EAST & NORTH AFRICA) 지역으로 분리되어 보고되었음.

-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매출 증가율은 35%에 달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 지역의 경우에도 전년 대비 9.6% 성장하였음.

- 특히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경우 전체 매출에서 스트리밍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95.3%에 달할 정도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이 지역 음반 산업의 매출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라틴 아메리카 지역은 전년 대비 31.2%나 성장하며 12년 연속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이로 인해 전 세계 음반 시장에서 라틴 아메리카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3.3%, 20203.6%에서 2021년에는 3.9%로 증가하였음.

-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매출을 견인하고 있는 브라질과 멕시코는 각각 전년 대비 32%, 27.7% 성장하며 전체 지역 매출의 66.5%를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미국과 캐나다 지역은 전년 대비 22.0%나 성장하며 20207.4%에 비해 상당히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음. 이는 201911.6%에 비해서도 약 2배에 달하는 수치임.

- 미국은 2021년에 전년 대비 22.6%나 성장하였으며 전 세계 상위 10개 시장 중에 하나인 캐나다 또한 전년 대비 12.6%의 성장률을 보였음.

- 미국과 캐나다 지역의 매출 증가는 유료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가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료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은 전년 대비 15.6% 증가하였음.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음반 시장인 유럽 지역의 경우 2021년 매출이 전년 대비 15.4%나 급증하며 2020년도 3.2% 성장에 비해 엄청난 성장률을 보였음.

- 유럽 지역의 매출은 전 세계 매출의 30.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특히 유럽 지역의 3대 시장인 영국, 독일, 프랑스는 각각 전년 대비 13.2%, 12.6%, 11.8% 성장하며 유럽 지역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이탈리아의 경우 전년 대비 27.8%나 성장하며 다시 전 세계 10대 시장으로 복귀했음.

- 전 세계 10위안에 드는 유럽의 4대 국가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 증가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아시아 지역은 전년 대비 16.1% 성장하였으며 전년도 성장률 10.7%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었음.

- 그동안 성장이 둔화 내지 감소세에 있었던 아시아 최대 시장인 일본은 전년 대비 9.3% 성장하였으며, 일본은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매출은 전년 대비 24.6%나 증가하였음.

- 아시아 지역의 전체 매출은 전 세계 시장의 23.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특히 아시아 지역은 실물(physical) 음반 판매에 있어서 전 세계 매출의 49.6%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오스트랄라시아 지역의 매출은 전년 대비 4.1% 성장했으며 전 세계 음반 시장에서 오스트랄라시아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2.2%인 것으로 조사되었음.

 

평가

최근 전 세계 음반 시장은 전례 없는 치열한 경쟁 상황에 놓여 있지만 기술과 온라인 환경이 계속해서 진화하고 확장됨에 따라 음반 산업도 함께 성장하며 발전하고 있음.

특히 코로나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실물 음반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이 증가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IFPI글로벌 음악 보고서 2022’는 향후 음반 산업의 추가적인 발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참고문헌

- https://www.ifpi.org/ifpi-global-music-report-global-recorded-music-revenues-grew-18-5-in-2021/

- https://www.ifpi.org/wp-content/uploads/2022/04/IFPI_Global_Music_Report_2022-State_of_the_Industry.pdf

- https://www.musicbusinessworldwide.com/global-recorded-music-revenues-hit-25-9bn-in-2021-up-18-5-yoy/

- https://www.billboard.com/pro/ifpi-global-report-2022-music-business-revenue-market-share/

- https://www.musicbusinessworldwide.com/global-recorded-music-revenues-reached-28-8-billion-in-2021-says-midia/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IT법학협동과정 지식재산권법 전공 박사과정 수료 

 

 

https://www.ifpi.org/wp-content/uploads/2022/04/IFPI_Global_Music_Report_2022-State_of_the_Industry.pdf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