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2022년 1호-[영국] 지식재산청, 온라인 저작권 침해 추적 보고서를 발표(유현우)
담당부서 통상연구팀 유혜정(0557920184) 등록일 2022-01-17
첨부파일

저작권동향-뉴스레터제1호-영국2.pdf 바로보기

저작권 동향 제1

2022. 01. 17.

 

 

[영국] 지식재산청, 온라인 저작권 침해 추적 보고서를 발표

 

유현우*

 

영국 지식재산청은 2012년부터 매년 온라인 저작권 침해와 관련한 소비자 행동을 추적 조사한 보고서를 발표해오고 있음. 영국 지식재산청은 제11온라인 저작권 침해 추적 조사보고서를 지난 20211222일에 발표함.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의 전반적인 온라인 저작권 침해 수준은 25%로 전년도에 비해 2%포인트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러한 전반적인 온라인 저작권 침해 수준은 지난 5년 동안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보고서 개요 및 조사 방식

영국 지식재산권청((Intellectual Property Office, 이하 ‘IPO’)2012년부터 매년 12세 이상 영국 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저작권 침해와 관련 소비자들의 콘텐츠 이용 행태를 추적 조사해 오고 있음.
 

영국 IPO2021년 제11온라인 저작권 침해 추적 조사(Online copyright infringement tracker survey)’ 보고서를 지난 1222일에 발표했으며 조사 방식은 다음과 같음

- 이번 연구는 AudienceNet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양적 연구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 방식이 포함된 2단계 혼합 연구 방법론 및 접근 방식을 채택하였음.

- 2021321일부터 2021424일 기간 동안 약 5,000여 명의 12세 이상 영국 국민을 대상으로 15분 가량의 온라인 설문조사(Online Survey)를 진행하였음.

- 2021517일부터 2021521일까지 5일 동안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16세 이상의 저작권 침해자 50여 명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질적 참여(Ongoing Qualitative Engagement) 방식의 연구를 진행함.

 

주요 내용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도 한해 디지털 영상 이미지를 제외한 전체 콘텐츠 분야에서의 전반적인 온라인 저작권 침해 비율은 25%로 전년도에 비해 2%포인트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유형별 침해수준

- 평균 수준 : 오디오북 (24%), 소프트웨어(23%), 영화(20%)

- 평균 상회 : 라이브 스포츠(29%), 디지털 잡지(27%)

- 평균 이하 : 음악(15%), TV(14%), 전자책(14%), 비디오 게임(11%)

 

노골적인 저작권 침해 행위(hardcore pirates)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잠정적인 징후(tentative signs)가 나타났음.

 

지난 5년 동안의 전반적인 온라인 저작권 침해 비율은 큰 변동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TV 프로그램

- 스트리밍 방식을 통한 TV 프로그램의 이용률은 전년도 42%에 비해 약 2%포인트 증가한 44%로 나타났으며, 다운로드 방식의 이용 또한 전년도 16%에 비해 3%포인트 증가한 19%로 조사됨.

- TV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저작권 침해수준은 전년도와 같은 14%로 나타남.

 

영화

- 영화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년도의 42%에서 3%포인트 상승한 45%에 이르렀는데 이는 지난 7년 중 가장 높은 수치로 평가됨.

-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영화를 이용한 비율도 전년도 19%에서 3%포인트 증가한 22%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2012년부터 동 조사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고치임.

- 영화에 대한 전반적인 저작권 침해 수준은 전년도와 같은 20%를 유지하였으며, 오직 합법적인 방식으로만 영화를 이용했다는 응답 또한 전년도와 같은 80%를 유지하였음.

음악

- 스트리밍 방식을 통한 음악의 이용률은 전년도에 비해 약 5%포인트 증가한 42%로 나타났으며, 다운로드 방식의 이용 또한 전년도에 비해 3%포인트 증가한 26%로 조사됨.

-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저작권 침해 수준은 전년도 18%에 비해 3%포인트 감소한 15%로 나타남.

 

라이브 스포츠

- 스트리밍 방식을 통한 이용률은 전년도 8%에 비해 거의 두 배 정도가 증가한 15%로 조사되었으며, 저작권 침해 수준은 전년도 37%에서 8%포인트나 감소한 29%로 나타남.

- 오직 불법적인(Only illegal) 경로만을 통해 라이브 스포츠를 스트리밍하는 비율은 12%로 전년도에 비해 1%포인트 감소하였으며, 합법적인 경로와 불법적인 경로를 혼합하여(Mix) 이용하는 비율은 18%로 전년도에 비해 7%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평가 및 시사점

콘텐츠 관련 산업 및 시장에서는 저작권 침해 및 불법적인 경로로 저작물을 이용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콘텐츠 품질의 잠재적인 저하(potential deterioration) 내지 콘텐츠의 양적 감소 등의 문제가 우려되고 있음.

 

악의적인 저작권 침해자(savvy infringers)들을 통제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저작권법의 집행력을 더욱 강화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음.

 

참고자료

https://url.kr/dcb5y1

https://url.kr/k6rufc

https://url.kr/l7gyrc

https://url.kr/xiwek4

 

*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정책과 전문경력관,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IT법학협동과정 지식재산권법 전공 박사과정 수료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