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2022년 1호-[일본]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및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해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에 관한 보고서 공개(권용수)
담당부서 통상연구팀 유혜정(0557920184) 등록일 2022-01-17
첨부파일

저작권동향-뉴스레터제1호-일본1.pdf 바로보기

저작권 동향 제1

2022. 01. 17.

 

[일본]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및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해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에 관한 보고서 공개 

 

 

권용수*

 

일본 문화심의회 저작권분과회 법제도소위원회는 저작물 등의 이용허락에 관계된 권리 대항제도 및 독점적 라이선시(라이선스를 받은 자)에게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지적된 것을 토대로 논의를 거듭한 끝에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및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해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에 관한 보고서를 공개하였음.

 

보고서 작성 배경

2017년 문화심의회 저작권분과회 법제기본문제소위원회는 이용허락에 관계된 저작물을 이용하는 권리 대항제도 도입이나 독점적인 라이선시에 대한 금지청구권 부여 등 라이선스 계약에 관한 제도 검토의 필요성을 지적하였음.

이를 토대로 문화청은 저작물 등의 라이선스 계약에 관계된 제도에 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독점적 라이선시에게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 검토의 필요성이 인정되었음.

2018년 법제기본문제소위원회는 저작물 등의 라이선스 계약에 관계된 제도에 관한 워킹그룹을 설치하고 저작물 등 이용허락에 관계된 권리 대항제도 도입 및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해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이라는 2가지 과제를 선정해 검토하였음.

2018년 워킹그룹이 위 의 과제를 검토하고 이용허락을 받은 권리와 관련해 특별한 요건 없이 저작권자와 별도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자 등에게 그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당연대항제도) 도입이 적당하다는 뜻을 제시하였고, 2020년 저작권법 개정에서 해당 제도가 도입되었음(일본 저작권법 제63조의2).

이후 워킹팀은 2021년까지 위 의 과제 및 그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를 함께 검토하였고, 2021121법제도소위원회가 검토 내용을 정리한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및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해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에 관한 보고서를 공개하였음.

 

보고서 주요 내용

1. 검토 내용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 독점적 라이선시는 저작권자 등이 다른 자와 별도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경우나 저작권 등이 다른 자에게 양도된 경우 이러한 자에게 해당 독점적 라이선스의 독점성을 주장할 수단이 없음

- 그 때문에 라이선스의 독점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독점적 라이선스보다 높은 가격을 지급하는 예가 많은 독점적 라이선시의 지위가 불안정한 상황임

- 독점적 라이선시가 그 독점적 라이선스의 독점성을 주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로서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도입을 검토함.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한 금지청구권 부여 제도

- 현행 저작권법에서는 다른 자에게 이용을 인정하기 위한 준물권적 권리가 출판권 외에 존재하지 않으며, 원칙적으로 독점적 라이선시가 금지청구권을 행사하는 것은 불가능함.

- 독점적 라이선시가 금지청구를 할 수 있게 되면, 인터넷상의 해적판 삭제 청구나 세관에서의 해적판 유입 방지 대책이 용이해져 해적판에 의한 피해 확산 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음.

- 그래서 독점적 라이선시에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을 검토함.

 

2. 문제해결 수단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및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해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독점적 이용허락 구성과 전용 이용권 구성이 검토되었음.

- 독점적 이용허락 구성

현행법에서 채권적 효력밖에 없는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에 대해 일정 경우 저작권 등의 양수인, 다른 라이선시, 불법 이용자 등에게 그 독점성을 주장하고 금지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도입을 상정하는 것임.

* 이용권 부분은 당연대항제도(일본 저작권법 제63조의2)를 적용하고 독점성 부분에 대해 새로운 대항제도를 도입하는 방향 등을 상정하고, 구체적인 제도 설계를 제시하였음.

- 전용 이용권 구성

특허법에서의 전용실시권이나 저작권법에서의 출판권과 같은 준물권적인 독점적이용권을 창설하는 것을 상정한 것임.

* 이용권 부분과 독점성 부분이 일체가 된 물권적 권리에 대해 새로운 대항제도를 도입하는 방향 등을 상정하고, 구체적인 제도 설계를 제시하였음.

 

정책 동향

일본 문화청은 기본적으로 독점적 라이선스 대항제도 및 독점적 라이선시에 대해 금지청구권을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하고 있음.

- 독점적 이용허락 구성과 전용 이용권 구성 중에서는 독점적 이용허락 구성을 좀 더 유력한 선택지로 보고 있으나, 전용 이용권 구성도 선택지가 될 수 있는 만큼 향후 구체적인 제도 설계를 진행하면서 양자 중 하나를 선택할 예정임.

 

참고자료

https://bit.ly/31DFlvv

https://bit.ly/3t9EE8M

https://bit.ly/3r2kDy0

 

 

 

* 동지사대학 법학연구과 법학박사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