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일본] 일본레코드협회, 2020년 음악 미디어 이용자 실태 조사 보고서 발표
담당부서 통상연구팀 안진영(0557920185) 등록일 2021-06-02
첨부파일

저작권동향-09-일본-권용수.pdf 바로보기

저작권 동향 2021년 제9

2021. 6. 2.

 

[일본] 일본레코드협회, 2020년 음악 미디어 이용자 실태 조사 보고서 발표

 

권용수*

 

일본레코드협회(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RIAJ)는 음악을 즐기는 방법이나 소비 실태 등을 살펴볼 목적으로 음악 이용실태 변화와 더불어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 관련 동향, 코로나19 전후의 동향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담은 ‘2020년 음악 미디어 이용자 실태 조사보고서를 공개함.

 

배경

일본 레코드협회는 음악 시장과 관련하여 과거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최근 이용자 동향을 정리해 음악을 즐기는 방법이나 소비 실태를 살펴볼 목적으로 12~69세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음. 그 결과를 담은 ‘2020년 음악 미디어 이용자 실태 조사보고서를 2021427일 발표함.

 

주요 내용

최근 3년간 음악 서비스의 유료이용층은 약간 감소하였고, 음악에 관심이 없는 층은 변화를 보이지 않음.

- 12년간의 변화를 보면 유료이용층은 200955.2%에서 202033.5%로 대폭 감소한 한편, 음악에 관심이 없는 층은 같은 기간 15.4%에서 31.4%로 증가하였음.

- 연령대별로 보면 중학생을 제외한 고등학생부터 60대에 이르는 모든 연령대에서 유료이용층이 감소하였음.

음악 청취 방법

- 기본적으로 CD나 라이브로 음악을 청취하는 비중은 감소 경향에 있고,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로 음악을 듣는 사람은 증가 경향에 있음.

- 2020년 음악 청취 방법을 보면 유튜브’, ‘텔레비전’,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순이었음.

- 한편, AM·FM 라디오 이용률이 높은 50·60대와 달리 젊은 층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음악을 듣는 경향이 강하며,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 ‘유튜브’, ‘무료 음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그러한 경향이 뚜렷함.

- 특히 10대에서는 유튜브 이용이 76%에 이르고 무료 음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무료 전송형 라이브이용률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음.

음악 관련 소비 실태

- 2020년 음악 관련 평균 지출총액은 5,842(한화 약 63,000)이며, 지출액은 ‘CD 구매’, ‘음악 관련 상품, 출판물’, ‘음악 비디오순으로 많았음.

- 2009년부터 지출총액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에 있고, 2020년은 최근 12년간 중 최소액을 기록함.

- 지출이 감소한 항목은 가라오케’, ‘콘서트 등 입장료등이며, 악곡 구매가 감소한 이유를 보면 무료 음원 사이트 등에 만족’, ‘금전적 여유 감소’, ‘소유하고 있는 악곡에 만족이 상위에 있었음.

아티스트에 대한 흥미도별 악곡 청취 방법

- 아티스트에 대한 흥미도와 관계없이 유튜브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고 아티스트의 팬인지, 그저 알고 있는 수준인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는 음악 CD에서 스마트폰으로의 복제’, ‘유료 전송형 라이브가 있었음.

- 좋아하는 아티스트에게 돈을 쓴 이유는 아티스트가 좋으므로에 이어 상품이나 음원을 소유하고 싶기 때문에를 들었음.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

- 서비스 이용자의 연령 구성을 보면 20~30대가 50%를 차지하였으며, 10~20대에서 지출이 증가하는 등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는 젊은 층에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스마트폰을 통해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근·통학 시56%로 가장 많았고, ‘점심 시간·휴식 시간’(41%), ‘취침 시’(28%)가 뒤를 이음.

전송형 라이브

- 전송형 라이브를 이용하는 이유는 아티스트의 팬이므로가 가장 많았고, 전송형 라이브에 대한 이미지는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가 두드러졌음.

코로나19의 영향

- 코로나19 이후 가라오케’, ‘콘서트, 라이브 등의 입장료부문이 크게 감소하였고, 향후 이용 의향은 콘서트, 라이브 등의 입장료부문이 가장 높았음.

- 한편, 코로나19 이후 유료 전송형 라이브’, ‘CD 구매’, ‘정액제 음악 전송 서비스’, ‘Amazon Prime Music’ 부문은 증가하였음.

- 라이브·이벤트 사용금액이 감소한 사람의 속성을 보면 여성 비율이 약간 높았고, 그 금액을 저축’, ‘식비’, ‘생활비 보전등에 사용하였음.

- 오프라인 매장 이용자는 코로나19 전후 큰 변동이 없었지만, 감소한 사람의 구성비를 보면 10~30대 남성 비율이 높았음.

 

참고 자료

- https://www.riaj.or.jp/f/pdf/report/mediauser/softuser2020.pdf

 

 

 

* 동지사대학 법학연구과 법학박사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