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저작권동향

저작권동향 상세보기
제목 [미국] Tillis 상원 의원, 저작권법의 현대화 및 개혁을 위한 개정안 초안 발표
담당부서 통상연구팀 안진영(0557920185) 등록일 2021-01-25
첨부파일

2021-1-미국-유현우.pdf 바로보기

저작권 동향 2021년 제1

2021. 1. 25.

 

[미국] Tillis 상원 의원, 저작권법의 현대화 및 개혁을 위한 개정안 초안 발표

 

유현우*

 

20201222, Thom Tillis 상원 의원은 “Digital Copyright Act of 2021”라는 제목의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의 현대화 및 개혁을 위한 개정안 초안을 발표함. 동 법안에서는 DMCA의 주요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적 보호조치 우회 금지 관련 현행 예외 규정을 개선하며, 저작자가 저작권을 인정받고 적절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권리 보호 수단을 강화하고, 저작권 소액 청구 재판소를 신설하는 방안 등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음.

 

개요

미국 상원 법제사법위원회 지식재산 분과(the Senate Judiciary Subcommittee on Intellectual Property) 위원장인 Thom Tillis 상원 의원(공화당)20201222일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이하 ‘DMCA’)을 현대화 및 개혁하기 위한 개정안 초안을 발표하였음.

미국 온라인 저작권법의 새로운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Digital Copyright Act of 2021”라는 제목의 동 개정안 초안은 저작권과 관련한 미국 내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구하기 위해 발표 및 공개되었음.

 

배경

1998DMCA가 제정된 이후 기술발전과 사업 환경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현재의 저작권법은 대부분의 저작권자와 개별 이용자의 요구에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특히 작년 6월 지식재산 분과 청문회에서 Thom Tillis 상원 의원은 DMCA 시스템이 이제 더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저작권법은 1998년에 의도했던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함.

또한 Thom Tillis 상원 의원은 저작물의 창작을 장려하기 위해 완전히 새로운 저작권법 시스템을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저작물 및 소프트웨어 제품을 합법적으로 이용하는 이용자와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번 개정안을 준비하였다고 밝힘.

 

과정

동 법안 초안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저작권법 개혁에 초점을 맞춰 지식재산 분과에서의 6회에 걸친 청문회와 2회의 직원 브리핑, 저작권청에서의 광범위한 연구 과정 4건에서 논의 및 권고되었던 사항들을 기반으로 마련되었음.

 

주요 내용

동 법안에서는 DMCA의 주요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적 보호조치 우회 금지 관련 현행 예외 규정을 개선하며, 저작자가 저작권을 인정받고 적절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권리 보호 수단을 강화하고, 저작권 소액 청구 재판소(copyright small claims tribunal)를 신설하는 방안 등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음.

또한 동 법안은 저작권 시스템이 창작자들에게 충분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OSP에 대한 중요한 확실성과 지침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개별 이용자 및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음.

 

상세 내용

저작권자와 개인 이용자를 더욱 잘 보호하고 저작권법 제512조에 따른 의무와 관련한 OSP의 확실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규정을 마련함에 있어 저작권 침해 정도, 규모, 사이즈, 범위 등의 차이를 고려하여 OSP가 수용하거나 채택해야만 하는 표준기술조치의 확립 및 모범사례를 설정하는 등 다양한 연방 기관의 역할 증대

OSP 사업자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여 저작권자가 특정 상황에서 저작권 침해물을 식별 및 입증해야 하는 책임을 완화시키고 기존의 notice&takedown 시스템을 notice&staydown 시스템으로 대체

저작권법 제512(f)조에 따라 강화된 처벌규정의 적용뿐만 아니라 저작권자와 반론 통지 발신인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CASE법에 의해 구상된 저작권 소액 청구 재판소 활용

성실하게 조사를 했음에도 저작권자를 찾을 수 없는 고아 저작물을 계속해서 이용하고자 하는 선의의 이용자에 대한 책임 제한

현재 의회도서관 소속의 저작권청을 상무부(the Department of Commerce) 산하의 행정기관으로의 확대

보안테스트 및 암호화 연구를 위해 기술적 보호조치 우회를 허용하는 기존의 영구적인 예외 규정을 개선하고 새로운 영구적인 예외 규정 추가

 

평가 및 전망

법안 초안이 발표된 후 Copyright AllianceCEO Keith Kupferschmid를 비롯한 여러 회원 단체들과 이해 관계자들은 Thom Tillis 상원 의원과 동 개정안에 대해 감사와 지지 의견을 표명함.

Thom Tillis 상원 의원은 현재 논의 중인 특허법의 특허 적격성 개혁과 더불어 저작권법 개혁에 대한 의회 합의를 회기 초기부터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Thom Tillis 상원 의원은 대기업·소기업, 개인·회사, 유튜버, 독립 창작자 등을 비롯한 저작권법 개정에 관심있는 이해 관계자들에게 202135일까지 동 법안 초안에 대한 수정 및 의견을 지식재산 분과에 제출할 것을 요청하였음.

 

참고 자료

- https://www.ipwatchdog.com/2020/12/22/tillis-draft-modernize-dmca/id=128552/

- https://www.tillis.senate.gov/2020/12/tillis-releases-landmark-discussion-draft-to-reform-the-digital-millennium-copyright-act

 

 

 

*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정책과 전문경력관,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IT법학협동과정 지식재산권법 전공 박사과정 수료

  • 담당자 : 손휘용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9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