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화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닫기

조사·연구

조사·연구 상세보기
제목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 성능평가 인증 표준화 연구
담당부서 법정책연구팀 등록일 2010-03-05
첨부파일

P2009-11.pdf 바로보기

UCI 코드
  •    G903:CD0-000000191   

o 연구기관 : 상명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종원)
o 발간부서 : 기술연구소
o 발행년도 : 2009
o 총페이지 : 190 p.
 ※ 자료 문의 : 기술연구소(T. 2660-0132~0134)
 

□ 목차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표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2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4
  2.1 연구범위 = 4
  2.2 연구방법 = 5


제2장  음악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에 대한 동향 = 7
 제1절  특징기반의 필터링 기술 개요 = 7
  1.1 검색어 기반 필터링 = 7
  1.2 해시(Hash) 기반 필터링 = 8
  1.3 특징 기반의 필터링 = 10
 제2절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 현황 = 14
  2.1 필터링 기술 연구 동향 = 14
  2.2 해외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 동향 = 18
  2.3 국내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 동향 = 19
  2.4 해외 필터링 기술 산업화 동향 = 20
  2.5 국내 필터링 기술 산업화 동향 = 21


제3장  음악 특징기반 필터링 평가기술 표준화 동향 = 23
 제1절  MPEG 동향 = 23
  1.1 MPEG 구성 = 23
  1.2 MPEG 7, MPEG 21 PAT 특징 = 26
 제2절  TTA 표준 = 31
  2.1 TTA 표준화 사례 1 : 비디오 식별 기술평가 및 인증 지침 = 31
  2.2 TTA 표준화 사례 2 : 정지영상 식별기술 전자인증 체계 = 32
 제3절 SDMI, STEP2000/2001, SDM = 33
  3.1 SDMI = 33
  3.2 STEP 2000/2001 = 35
  3.3 SDM = 38
 제4절  SW 평가 표준 = 40
  4.1 국제표준(ISO/IEC 9126)모델 = 40
  4.2 기타 국제 표준화 동향 = 46
  4.3  국내·외 소프트웨어 시험·인증기관 및 기술 동향 = 48


제4장 음악 필터링 산업 및 정책 동향 = 52
 제1절 콘텐츠 유통 및 저작권 피해 현황 = 52
  1.1 해외 주요 콘텐츠 유통 및 저작권 피해 현황 = 52
  1.2 국내 주요 콘텐츠 유통 및 저작권 피해 현황 = 53
 제2절 법제도 및 정책적 측면에서의 요구사항 = 57
  2.1 주요국 저작권 관련법 분석 = 57
  2.2 해외 법제화 추진현황 = 60
  2.3 국내 법제도 추진 현황 = 65


제5장  오디오(Audio)편집(Editing) 툴(Tool)현황 = 67
 제1절  Sound Forge = 69
  1.1 Sound Forge의 특징 = 69
  1.2 Sound Forge의 기능 = 70
  1.3 시스템 요구 사항 = 72
 제2절  CoolEdit Pro = 73
  2.1 CoolEdit Pro의 특징 = 73
  2.2 CoolEdit Pro의 기능 = 74
  2.3 시스템 요구 사항 = 75
 제3절  GoldWave = 76
  3.1 GoldWave의 특징 = 76
  3.2 GoldWave의 기능 = 76


제6장  표준 인터페이스 적합성 평가 방안 = 78
 제1절 적합성 평가 개요 = 78
  1.1 적합성 평가 의의 = 78
  1.2 적합성 평가 제도의 유형 = 79
  1.3 우리나라의 적합성 평가 관련 인증기관 사례 = 80
  1.4 해외 적합성 관련 인증제도 = 88
 제2절 표준 인터페이스 의의 = 91
  2.1 표준 인터페이스 환경 = 91
  2.2 표준 인터페이스 소개 = 92
 제3절 표준 인터페이스 적합성 평가 방안 = 97
  3.1 적합성 평가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구조 안 = 97
  3.2 표준 인터페이스 적합성 평가 방안 = 99


제7장  특징기반 필터링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 선정 = 103
 제1절 개 요 = 103
 제2절 선행과제에 대한 분석 = 104
  2.1 강인성(Robustness) = 104
  2.2 신뢰성(Reliability) = 105
  2.3 일관성(Uniqueness) = 105
  2.4 빠른 추출(Fast extraction) = 106
  2.5 부분매칭(Partial matching) = 106
  2.6 축약성(Compactness) = 107
  2.7 검색/비교 속도와 확장성(Search speed and scalability) = 107
  2.8 특징점 정보량(Feature Size) = 107
  2.9 선행 연구 식별기술 성능요구사항 정리 = 108
 제3절 유사사례 분석 = 110
  3.1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 = 110
  3.2 STEP 2000/2001 = 113
  3.3 MPEG-21 = 114
  3.4 비디오 식별 기술평가(TTA) = 116
  3.5 정지영상 식별기술(TTA) = 121
  3.6 MPAA의 Fingerprinting Technology Testing = 124
  3.7 기술적 보호조치 표준화 연구(2008년) = 127
 제4절 설문조사 및 인터뷰 분석을 통한 요구사항 분석 = 128
  4.1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위한 대상 선정 = 128
  4.2 오디오 식별기술 성능요구 사항 선정을 위한 조사 분석 = 129
 제5절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 도출 = 146
  5.1 평가방법 도출 = 148
  5.2 평가프로세스 = 154
  5.3 성능평가인증 활동 = 160
  5.4 시험 표본음악 수의 선정 = 167
  5.5 시험결과의 일관성 제공을 위한 평가시스템 고려사항 = 172


제8장  국내 표준평가인증 시장 및 경제성 분석 = 175
 제1절 저작권 보호기술 현황 = 175
  1.1 포렌식 마크와 필터링 국내 기술개발 현황 = 175
  1.2 국내 DRM 및 필터링 시장 규모 = 176
 제2절 평가인증 시장규모 = 178
  1.1 평가인증비용 구성??) = 179
  1.3 인증시스템 구성(안) = 181


참고문헌 = 189

  • 담당자 : 박정훈
  • 담당부서 : 법제연구팀
  • 전화번호 : 0557920076

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총 5점 중 5점
  • 만족도 총 5점 중 4점
  • 만족도 총 5점 중 3점
  • 만족도 총 5점 중 2점
  • 만족도 총 5점 중 1점
평가하기